Leadersky Total Menu

 

하늘의 가장 아름다운꽃

항공승무원

승무원이란?

승무원은 영어로 Flight Attendant 또는 Cabin Crew라고 지칭하며 과거에는 스튜어디스 또는 스튜어드라고 지칭하였으나 영어권 국가에서 성차별적 용어로 인지하여 자주 쓰이지 않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항공승무원의 시초는 1930년5월에 미국의 보잉에어트랜스포트에서 8명의 간호사들이 샌프란시스코와 시카고를 운항하는 여객기에서 근무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1989년부터 해외여행 자유화가 시작되면서 민간인들의 일반적인 해외여행이 자유로워졌고, 이에 따라 항공 승무원이라는 직업 또한 점차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관광,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항공 승무원이라는 직업 또한 많은 관심을 받으며, 경쟁률 또한 높아진 편입니다.

승무원의 업무

승무원의 업무는 이륙 전 부터 착륙 후 까지의 서비스 업무가 주를 이루게 됩니다.
  •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 기내 안전, 기내용품 체크 전체 좌석의 청결도를 체크합니다.
  • 활주로 이동 시에는 안전띠, 구명복, 산소마스크, 비상탈출구의 사용법에 대해 시범을 보여주며 이륙전 모든 사항을 체크합니다.
  • 항공기가 이륙 후에는 각종 입국신고서 및 세관신고서, 기내식, 기내면세품의 판매와 응급 환자 발생시 상황 대처까지 고객을 위한 투철한 서비스 정신을 요합니다.
  • 마지막으로 여객기가 공항에 착륙 전, 착륙 안내방송과 승객의 안전띠 착용 여부 등 전체적인 점검을 하며 착륙 후에는 승객이 내리는 것을 도와주고 객실의 분실물이나 내리지 않은 승객이 있는지 체크하는 것 외에 여러가지 업무를 맡습니다.

승무원의 취업 전망

해외 및 국내 여행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매년 신규 취항지및 인기취항지의 편수 증가와 새로운 저가항공사의 출범 등 항공 승무원 이라는 직업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국적기인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외에 항공기를 이용하는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LCC(저가항공사)또한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저가항공사로는 티웨이, 이스타,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에 이어 2016년 새로 취항한 에어서울까지 시장규모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승무원의 직급

  • 수습승무원

     

    인턴과 같은 개념으로 비행 및 교육 각 항공사마다 인턴기간이 상이 (대한항공 : 2년, 아시아나 : 1년)

  • 객실승무원

     

    인턴 교육이 끝나고 정식승무원이 되며 약3~5년 근무하게 됩니다.

  • 사무장

     

    승무원으로 3~5년 근무 후 자격심사를 통해 진급하게 됩니다. (약3년 정도의 근무기간)

  • 무장

     

    부사무장으로 약 3년 근무 후 자격심사를 통해 진급하게 됩니다.

  • 선임사무장

     

    사무장으로 약 3년 근무 후 자격심사를 통해 진급하게 됩니다.

  • 수석사무장

     

    선임사무장으로 약 3년 근무 후 자격심사를 통해 최고직급인 수석사무장으로 진급하게 됩니다.